티스토리 뷰

엑셀은 버전에 따라 확장자가 xls, xlsx로 나뉘는데

두 확장자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

Workbook 클래스를 사용한다. (Workbook, Sheet, Cell)


(추가. 해당 셀의 null 체크를 하려면 cell == null은 기본으로 체크하고, cell.getCellType == Cell.CELL_TYPE_BLANK도 사용한다.)

(추가2. 엑셀에서 셀을 삭제 할 때,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삭제할 셀 영역을 선택하고 키보드의 delete키를 이용하여 삭제를 한다. 이게 셀의 null체크시 문제가 될 수 있다. 단순하게 delete로 셀의 내용을 삭제하면 이것은 말 그대로 내용만 삭제한 것 뿐이다. 즉, 개발자 입장에서 조금 더 쉽게 풀자면 셀 객체의 내용을 빈 공백으로 세팅한 것이다. 그렇기 때문에 셀의 null 체크시 걸러지지가 않는다. 이를 막기위해서는... 엑셀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셀을 우클릭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장 좋다. 아니라면 개발자가 빈 공백인지 체크하는 부분도 넣어주던가... delete키를 눌러서 삭제하면 cell = ""; 이렇게 된 것이다.)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